2011년 9월 14일 수요일

카이스트식 잠재성 다면평가

KAIST식 잠재성 다면평가

KAIST의 입학여부를 판가름 하는 기준 잣대중의 하나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라고 한다.


탐구역량(창의성,호기심,논리성)

  • 세계적인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본인만의 방법을 제시하라.
  • 자동차 바퀴와 같이 원형의 다리를 가진 생물체 가없는 이유는?
  • 미적분은 실생활에 쓸모 없는데 왜 배울까?
  • 지구에 빙하기가 온다면 인류가 생존을 위해 무슨 일을 해야 하나?
  • 경부고속도로의 제한속도가 시속 100Km인 이유는?

대인역량(리더십,사회성,봉사성,발표력)
  • 휴대전화 전화번호에 한 달에 한번 이상 연락하는 친구들의 숫자는
  • ?
  • 학교가 집과 떨어져 있는데, 기존의 교우 관계와 새로운 교우 관계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?
  • 연구실에서 연구만 하는 과학자와 사회적인 리더로 활동하는 과학자 중에서 어떤 사람이 더 좋은 결과를 얻을까?
  • 본인이 몇 시간 걸려서 푼 어려운 문제를 친구가 물어보면 가르쳐 줄 것인 것?

내적역량(열정, 동기부여, 자기관리)
  • 앞으로 이 학교에 입학해서 이루고 싶은 일은?
  • 서울대와 카이스트의 차이점은? 어디가 더 좋다고 생각하나?
  • 주말에 시간이 많을 때 하는 일은?
  • 지금까지 가장 힘들었던 순간과 그것을 극복한 방법은?
창의성이라고 하면, 엉뚱한 아이디어를 불쑥 불쑥 내놓는 것이 전부라고 생각하면 안된다.

어느 연구에서 창의적이라 불릴만한 각 분야의 유명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그들의 공통점은 그 분야에서 달인이었다고 한다.

즉, 모든건 기본이 탄탄하게 다져진 후에 관계 없을 듯한 분야를 통합해내는 능력이 바로 창의성이다.
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